환경

뉴질랜드 쓰레기 분리 배출 제도와 재활용 정책 : 자연 보호 국가의 친환경 실천과 제로 웨이스트 도시 전략

jiablog 2025. 8. 1. 11:20

뉴질랜드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청정 자연 국가로, 환경 보호에 대한 시민 의식이 매우 높은 나라다.

최근 몇 년간 기후 변화 대응과 자원순환 정책을 국가적 우선 과제로 삼으며,

각 지자체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도시 전략을 수립하고 생활 폐기물 감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뉴질랜드는 재활용 중심의 쓰레기 관리 체계, 플라스틱 금지법,

지역사회 기반의 커뮤니티 리사이클링 센터 운영 등을 통해 시민의 자발적인 분리배출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뉴질랜드의 분리배출 시스템 구조, 재활용품 수거와 처리 방식, 플라스틱 사용 규제, 시민 참여 정책,

그리고 한국과의 비교를 통해 친환경 국가로서의 뉴질랜드가 어떻게 자원순환을 실천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뉴질랜드의 분리 배출 제도
뉴질랜드 쓰레기 분리 배출

 

 

뉴질랜드 분리배출 시스템 구조와 운영 방식

뉴질랜드는 중앙정부 환경부(Ministry for the Environment)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하지만,

쓰레기 수거와 분리배출은 지방정부(Council)가 주도한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별로 분리배출 항목이나 수거 주기, 용기 방식이 다를 수 있다.

대표적인 분리배출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재활용품(Recyclables) – 종이, 판지, 플라스틱 #1, #2, 금속 캔, 병류
- 음식물 쓰레기(Food scraps) – 일부 지역만 별도 수거
- 일반 쓰레기(General waste) – 매립 대상 쓰레기
- 유해 폐기물(Hazardous waste) – 건전지, 전자제품 등은 별도 센터로 반납

대부분의 가정은 색상별 수거통을 이용하며, 보통 재활용(노란색), 일반 쓰레기(빨간색), 음식물(초록색) 등의 컬러 코드를 따른다.
수거는 주 1회 또는 격주로 이뤄지며, 정해진 날짜와 시간에만 배출할 수 있다.

각 카운슬(지방정부)은 공식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분리배출 기준과 수거 일정을 안내하며,
위반 시 경고 또는 벌금이 부과되기도 한다.

 

 

 

재활용 시스템의 현실과 지역 커뮤니티의 역할

뉴질랜드의 재활용 정책은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동시에, 커뮤니티 주도의 재활용 활동이 강점이다.
대형 재활용 센터 외에도, 소규모 지역사회에서는 ‘Community Recycling Centre’(CRC)라는 공공 운영 재활용소를 운영한다.

이곳에서는 플라스틱, 유리, 철, 종이 등을 분류·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고 가전이나 가구, 자전거 등의 수리 및 재판매도 진행되어 순환 경제 모델의 일환으로 기능하고 있다.

재활용품은 수거 후 선별장(MRF)에서 자동·수작업 선별 과정을 거쳐, 국내외 재활용 업체로 공급된다.
다만 뉴질랜드는 국토가 넓고 인구 밀도가 낮기 때문에, 일부 품목은 처리시설 접근성이 낮고,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재활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존재한다.

최근에는 재활용 불가 품목 발생 시 발생 원인을 소비자에게 환기하고,

쓰레기 감축 캠페인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와 규제 강화

뉴질랜드는 2019년부터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전국적으로 금지했으며,
이후로도 플라스틱 빨대, 플라스틱 식기류, 폴리스티렌(스티로폼) 포장재 등에 대한 단계적 금지 정책을 시행 중이다.

정부는 ‘Plastic Phase-out Plan’을 통해

2025년까지 재활용 불가능한 모든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퇴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 디자인 개선과 재사용 중심 문화 확산을 유도하고 있다.

플라스틱병과 캔류에 대해서는 ‘보증금 환급제(Deposit Return Scheme)’ 도입을 준비 중인데,
2025년부터 전국 시행이 목표이며, 이를 통해 병·캔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계획이다.

현재는 대형 슈퍼마켓이나 커뮤니티 리사이클링 센터에서 병류 수거가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파일럿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시민 참여와 학교 중심 환경 교육의 중요성

뉴질랜드는 ‘정부 주도형 관리’보다는 시민 주도형 실천과 교육 중심 정책을 추구한다.
그 중심에는 학교 환경 교육 프로그램과 지역 커뮤니티 캠페인이 있다.

초·중·고등학교에서는 분리배출 실습, 자원순환 워크숍, 재활용 예술 만들기, 지역 센터 견학 등이 정기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학생들이 가족에게 분리배출 지식을 전달하는 선순환 구조도 잘 형성돼 있다.

또한 전국 곳곳에서는 ‘Love Food Hate Waste’, ‘Waste-Free Parenting’, ‘Plastic-Free July’와 같은
캠페인을 통해 가정, 기업, 학교가 함께 자발적으로 쓰레기를 줄이는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민 참여 기반 정책은 행정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발성과 공동체적 책임감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높은 정책 수용도와 실천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과의 비교 : 기술 중심 행정 vs 시민 중심 생태 시스템

한국은 RFID 음식물 종량제, CCTV 기반 무단투기 단속, 재활용 등급 표시제 등
정교한 행정 시스템과 기술 기반의 분리배출 정책을 갖추고 있다.

반면 뉴질랜드는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을 운영하지만,
시민의식과 커뮤니티 중심 구조를 통해 분리배출과 재활용을 일상에 뿌리내리게 하는 방식이다.

또한 한국은 재활용률 자체는 높지만, 재활용 후 품질 저하나 원료화의 한계라는 문제를 안고 있고,
뉴질랜드는 재활용률은 낮지만, 고품질 자원화와 쓰레기 감축 중심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

두 나라는 서로 다른 방식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는 같으며,
서로의 강점을 참고할 수 있는 보완적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